코로나와 함께 가정이나 사업장에서나 생활하기가 힘든 요즘이다. 월급이나 매출은 똑같거나 아니면 더 떨어지는데 매달 나가는 나와 내 가족들의 고정비는 정해져 있다 보니 한숨이 나오는 게 사실이다. 그중에서도 누구에게나 절대적으로 빠지지 않는 비용 중의 하나가 바로 통신비용이다. 그 부분을 해결해 줄 수 있는 게 알뜰폰인데 이번에는 알뜰폰에 관해 한번 자세히 알아보도록 한다.
알뜰폰 뜻
알뜰폰은 기존부터 사용하고 있는 대형 통신사 3사 (SK, KT, LG) 통신망을 빌려서 사용하는 휴대폰 통신서비스 중의 하나로서 저렴하고 알뜰하게 사용한다는 뜻의 서비스라고 보면 이해하기가 가장 쉽다. 예전에는 알뜰폰 하면 잘 안 터진다 느리다 답답하다 라는 부정적인 인식이 많았지만 요즘은 그렇지 않다. 가성비를 가장 많이 따진다는 MZ세대들도 많이 비교해보고 알아보는 등의 유입이 상당히 늘어나면서 그 가입자수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알뜰폰 이용인구가 천만명 시대라는 타이틀이 나온지도 꽤 됐다. 그렇다 보니 기존의 통신업체뿐만 아니라 금융이나 다양한 사업 쪽에서도 알뜰폰 분야에 뛰어들어 결합을 하는 등 활발한 마케팅 전쟁이 이뤄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알뜰폰 종류
알뜰폰의 종류는 크게 2가지로 나뉜다. 바로 선불폰과 후불폰으로 말이다. 말 그대로 요금을 먼저 (先) 내고 사용하는 폰이 선불폰이며, 후불폰은 기존에 사용하는 거처럼 요금을 매달 후불로 내는 요금제이다. 선불폰은 낯설어하는 사람이 많지만 해외여행을 갈 때 그 나라 유심을 구매해서 휴대폰에 끼워 쓰는 방식은 많이들 알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쓰는 그 방법이라고 보면 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층이 요금미납이나 연체 등으로 정상적인 사용이 힘든 사람들, 혹은 외국인 등이 개통해서 사용을 할 수 있으며 후불 요금제에 비해서는 약간 요금은 비싸다.
장점
무엇보다도 저렴한 가격이 1순위, 2순위도 가격이다. 알뜰폰의 매력으로 넘어오는 사람들은 가격적인 메리트가 가장 크다. 기존의 통신회사와 같은 망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화품질이나 데이터 속도 등의 사용에 아무런 제약이 없고 똑같이 사용 가능하니 굳이 불편함을 느끼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프로모션 요금제의 경우 0원 요금제부터 커피 한잔 값도 안 되는 요금제부터 많다. 다음으로는 약정이 없다. 본인이 원하는 저렴한 요금제를 선택해서 사용하고 싶은 만큼 쓰다 보니 상당히 자유롭다. 그래서 추가 업무용 휴대폰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을 많이 한다. 본인 또한 사무실 업무용으로는 알뜰폰을 사용하고 있다.
단점
고객센터와의 연락이 힘들다. 기존의 통신사는 바로바로 응대가 가능하고 오프라인에서도 대리점이 많기 때문에 쉽게 소통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온라인이 대부분이라서 빠르게 응대하는 부분이 아쉽다. 그리고 멤버십 혜택이 없다. 기존 통신사들의 멤버십 혜택이 많이 줄어들어서 이 부분도 요즘은 크게 지장이 없다고 보인다.
저렴한 요금제 찾는 방법
요즘에는 매달마다 가성비가 좋은 요금제가 출시를 하고 있다. 그래서 매월 초에는 이를 소개하는 각종 블로그나 유튜브에서는 다양한 프로모션 요금제부터 빠르게 확인이 가능하다. 그만큼 알뜰폰 업계에서의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많은 선택사항이 있어서 좋다. 더불어 본인의 사용량에 맞는 패턴을 직접 비교하면서 조회해서 다양하게 알아볼 수 있는 사이트도 같이 알려드리니 활용하길 바란다.
- 알뜰폰 Hub
- 모요(모두의 요금제)
나도 알뜰폰 사용 중인데 안 쓸 이유가 없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싸이월드 모바일 알아봅시다 (0) | 2022.04.21 |
---|---|
IMEI 대해서 알아봅시다 (0) | 2022.04.21 |
아이폰12와 12미니 비교해봅시다 (0) | 2022.04.20 |
삼성 잔상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2.04.20 |
중고폰 거래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 2022.04.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