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자급제폰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by 9788ab 2022. 4. 26.
반응형

2022년 소비자들의 구매 트렌드는 무엇일까? 코로나19로 인해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다 보니 밖에 나가서 소비하는 것보다 이제는 거의 모든 대부분을 온라인에서 구매한다. 휴대폰의 경우도 이처럼 변하고 있다. 더 이상은 오프라인 매장을 거쳐서 구매하지 않고 온라인이나 쇼핑몰을 통해 바로 구매를 한다. 그게 바로 자급제폰인데 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자급제폰 정의

기존에는 무조건 통신사 대리점을 방문해야만 했다. 통신사를 선택하고 매장을 찾아가서 기기와 개통은 당연히 같이 하는 걸로 여겨졌다. 그러나 요즘은 이 중간 단계를 거치지 않고 기기만 구매가 가능한데 이를 자급제폰이라고 보면 된다. 이 얘기는 구매와 개통을 분리한다는 점이다. 구매 방법으로는 삼성이나 애플 자사가 운영하는 판매처 예를 들면, 디지털플라자나 애플스토어 같은 곳부터 하이마트, 쿠팡, 옥션 등 쇼핑몰까지 굉장히 다양하다. 통신사 전용 단말기가 아니라서 통신사 로고도 없으며 필수적으로 깔려있는 앱들도 없어서 훨씬 더 가볍고 깔끔한 모바일 환경을 구축할 수가 있다.

 

 

장점과 단점

  • 매번 의무적으로 사용을 해야 했던 약정이나 위약금의 구속에서 벗어나 본인 스타일에 맞게 모든 걸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사용하던 요금제를 이어서 그대로 써도 좋고 변경을 해도 좋다. 통신사에서 구매할 경우, 기계값 할부 시에는 이자도 나가는데 이는 모르는 사람도 많다. 이 비용까지 아낄 수가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자급제폰과 함께 저렴한 알뜰요금제의 조합으로 이용하는 똑똑한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다음으로 마켓마다 자체별 카드 혜택이 있어서 무이자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이벤트도 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따지고 보면 자급제폰을 구매해서 일정 기간 사용한다고 보면 큰 금액을 아낄 수가 있다는 걸 계산할 수가 있을 것이다.

 

  • 단점은 아무래도 구매 초기에 바로 목돈이 들어간다. 최소 몇십만 원부터 백만 원을 넘어가다 보니 부담스러운 부분이 없지 않아 있다. 그리고 통신사 가입 시 얻는 멤버십이나 혜택은 당연히 받지를 못한다. 이 부분은 요즘 크게 사용을 안 하는 부분이라 크게 문제가 되지 않다고 생각한다. 또한 스스로가 직접 구매하여 하나하나씩 세팅을 해서 사용해야 한다는 점은 다소 연령대가 있는 경우 선뜻 용기가 나지 않을 수 있다.

 

 

통신 소비문화의 변화

우리는 단통법으로 인해 똑같은 제품인데도 불구하고 누군가는 싸게 , 누군가는 비싸게 사 왔던 게 사실이다. 그렇다 보니 구매자들은 뒤쳐져버리고 항상 불리한 구조였다. 새롭게 나온 자급제 구매방법은 많은 것을 변하게 하고 있다. 기존 오프라인 판매점들은 예전보다 힘들어지는 구조이지만 그래도 정직하게 신뢰를 바탕으로 영업하는 곳은 계속 살아 남아 왔고,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다양한 선택지가 있어서 좋다. 마지막으로 제조사의 입장에서는 자체 판매처를 통해 중간 마진과 마케팅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니 더할 나위 없다고 보인다. 이 세 군데의 조화가 잘 맞아야지만 꾸준히 발전할 것이다.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S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2022.04.28
XCOVER 5 알아봅시다  (0) 2022.04.27
아이폰 잠금해제 알아봅시다  (0) 2022.04.25
아이폰 노혼배터리로 교체해봤습니다  (0) 2022.04.24
IT 중고시장 살펴봅니다  (0) 2022.04.23

댓글